티스토리 뷰

note

동아시아 민속학과 문화

ITs Story biaos 2022. 11. 19. 14:45

민속학과 문화

(1)민속학

1846년 영국의 W.J.Thomsrk "Folklore"란 말 사용;“보통 사람 사이에 유전되는 전통신앙,전설 및 풍속,고대시절의 몸가짐manners,풍속의식observances,미신,민곡ballade

.민간적인 것

.전통적 신앙,전설,풍속

(2)정신적인 것,혹은,도시문화 중의 속민Folk문화

.민속학 140년 역사. 문화인류학,민족학,사회학,역사학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 독립학문

.민속은 집단의 동의와 반복적인 행위를 거쳐 정착된 사회현상

.유형적, 모식적(模式的), 전승적(傳承的), 분포적(頒布的)

.민속학의 연구대상은 민속사회 생활 중의 생생한 현장. 문화가 좀 낮은 서민의 생활.

.구분은 물질민속,사회민속,정신민속.

- 그러나 구체적 생산과정은 물질로 보더라도 생산시의 금기나 의식은 정신적인 것.

- 예를 들자면 공휴일이나 기념은 기능적인 휴식기간일 뿐 아니라 일종의 정신적이고 종교적 날인 것.

.문화를 보는 눈- 생산성, 심미성, 종교성, 유희성

(3)민속학의 특성

.사회성과 집단성

- 사회적 승인과 사회적 결속

- 집단의 호응

- 집단적이고 세대전승적

()운난云南성 파이白족의 靑姑娘節

.유형성과 모식성(模式性)

- 공동 준수, 사회행위의 표준

- 모티브motive에 의한 구조의 재생산

- 단원신화monomyth의 재생산

- Thompson의 이야기 31가지 기본 유형

떠남 - 시련 - 귀환의 모티브

()혼례의 순서,신데렐라 이야기,뱀낭군 이야기,우렁이 색시 이야기

.변이성

- 사회.정치적 요인과 생활요소의 영향에 의한 변이

- 재창조,활력적이고도 가장 중요한 요인

- 구두와 행위를 통한 전승

- 지역환경과 생산,생활방식의 영향

()춘절(春節)(과년(過年))

- ()은 사람()이 벼()를 들고 서있는 모양

- 󰡔이아(爾雅)󰡕 : ()에서는 세()(도끼 부()로 사람의 두 발을 끊는 모양은 곧 제사를 지내는 모양), ()에서는 제사와 관련지어서 사()라 하고, ()에서는 년()이라 하고, 당오(唐虞)에서는 재()라 함.

- 연장자가 익은 곡식을 얻는다는 뜻

- ()의 본뜻은 곡식이 일 년에 한 번 여문다는 뜻. 고대인들이 시간을 계산하는 하나의 단위.

- “길경유여(吉慶有余)”, “오곡풍작(五穀豊作)”

- 어떤 지구(臺灣)에서는 ()’을 괴물이라 하여 이를 정복하기 위해 폭죽을 터뜨리고 대련(對聯)을 붙여 괴물이 나쁜 짓을 하는 것을 막음. 수세(守歲).

- 사회발전과 시대변혁의 영향

- 지역관념과 민족심리의 영향

- 독특한 자연환경

- 생산방식 및 생활방식

- 향토감정, 민족감정

.전승성,반포성

- 민속은 역사적 문화적 축적

- 일정한 지역, 민족, 사회의 전승은 그곳 사람들의 공동심리의 지배를 받음.

- 모방(감화,영향)의 잠재심리

- 모티브는 여전히 연속

- 전파, 채용(사회의 승인을 받아 실용적 가치를 나타냄)

(3)민속학적 원인

- 민속은 사회 발전 및 변화,개인의 심리와 그 발로에 의한 사태의 맥락을 따른다.

.경제적 원인

- 사회생산력의 제약

- 경제적 기초

- 생산을 관장하는 힘에 대한 해석

- 만물정령(萬物精靈)에 대한 믿음

- 조상을 되새기는 노래나 의식을 통해 생산을 이어나감

.정치적 원인

- 계급적 정치적 영향

- 봉건적 통치로 인한 봉건사상

- 한족(漢族)의 혼인은 부모의 명(), 중매인의 말, 삼종사덕을 따라야.

- 민간기존의 풍속을 개조하여 통치계급의 사상을 표현.()투쟈(土家)족은 바이써우무(擺手舞)에서 상대를 골랐음

- 차차 자유혼인을 금지하고 중매를 통해야 했으며 붙들려가는 모양을 흉내내는 창() 혼婚)을 하지 않게 됨.

- 관청에서는 돈을 내어 가마를 제작하고 빌려줌.

- 청혼, 궁납, 약혼, 납채, 울며 시집가기 등은 습속으로만 남음.

- 신분을 나타내는 의복, 머리 형태 ; 모계사회, 부계사회의 구분

.심리적,종교적 원인

- 원래 종교의례에서 시작되어 민속이 된 것이 적지 않음.

- 민속은 퇴화된 종교

- 원시종교는 생산력이 낮은 상황에서 자연과 싸울 때 힘이 없어 생긴 것.

- 바람, , 우레, 번개, 삼복더위, 엄동(嚴冬), 특히 인간의 자연적인 생노병사(生老病死)에 대해 직관적이고 환상적 사고.

- 무생물이든 유생물이든 영혼이 존재하는 것으로 믿었으며 사물을 인격화하여 해석.

- 신화와 전설에 배어든 사고.

()중국의 치양족은 흰 돌 숭배 ; 거지족과 싸울 때 흰 돌신의 도움을 받아 이겼다는 전설 때문에

()여진족은 개고기를 먹지않아 ; 태조 누루하치가 개의 도움으로 살아났으므로.

- 자연 숭배,토템Totem 숭배,조상 숭배 등으로 이어짐.

()일본인의 산악신앙 ()불에 대한 숭배와 태양에 대한 숭배

- 현대종교로 이어짐.

()이슬람인은 돼지고기 먹지 않음

()시쌍반나(西雙版納)의 다이족은 소승불교 영향

()티베트 장()족은 라마교 영향 라.지역적 원인

- “백리에는 바람이 같지 않고 천리에는 습속이 같지 않다.”

- 자연은 생존에 필요한 자료와 정신적 영향을 제공.

- 적응과 선택이 민속 형성.

- 거주지역, 생활방식, 생산방식의 차이.

- 가옥구조나 의복, 음식, 혼인, 제사, 공예, 교통 등의 민속에 가장 잘 나타나.

()풀을 따라 거주해야 하는 중국 몽고족의 파오[夢古包]

- ‘풀로 언약맺기

()몽고족의 나다무(那達慕)대회에서 말타기, 활쏘기, 씨름. 날래고 용감한 상무(尙武)정신

.언어적 원인

- 언어는 무속적 목적

- “입초사(입방정)를 떤다,“말이 씨가 된다

- 경칭(敬稱)과 존칭(尊稱), 금기어(禁忌語)

- 제의를 지내면서 말을 하지 않음.

- 욕설(辱說)에 깃든 민속.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