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이번 글은 웹투비와 제우스 간의 연결 설정 및 기동 순서에 대한 요약

 

 

 


WebtoB와 JEUS 연결 설정 및 기동 순서

1. WebtoB 환경 설정 파일 수정:
- `/webtob/config/http.m` 파일을 엽니다.
- `NODE` 섹션에서 `JSVPORT` 매개변수를 연결 포트로 설정합니다: `JSVPORT = 9900`.
- `SVRGROUP` 섹션에서 `SVRTYPE`이 `JSV`인 서버 그룹을 추가합니다: `jsvg SVRTYPE = JSV`.
- `SERVER` 섹션에서 서버 그룹에 서버를 추가합니다: `MyGroup SVGNAME = jsvg, MinProc = 20, MaxProc = 20`.
- 파일을 저장하고 종료합니다.

2. WebtoB 환경 설정 파일 컴파일:
- 수정한 설정을 컴파일합니다: `wscfl -i http.m`.

3. WebtoB 재시작:
- 웹투비를 다운한 후 다시 시작합니다:

> wsdown
> wsboot

- 웹투비 서버에 지정한 URL(`https://WEB서버IP:8080/`)로 접속합니다.

4. MyGroup 상태 확인:
- 웹투비가 실행 중인 상태에서:

> wsadmin
> si

- `MyGroup` 상태가 `NRDY` 또는 `RDY`로 나오는지 확인합니다.

5. JEUS 시작:
- 도메인 관리 서버(DAS)를 시작합니다:

startDomainAdminServer -u administrator -p <password>

- 관리 서버(MS)를 시작합니다:

startManagedServer -domain jeus_domain -server server1 -u administrator -p <password>

- JEUS가 제대로 시작되었는지 확인합니다: `ps -ef | grep "servar1"`.

6. JEUS 관리 콘솔 접근:
- 웹 브라우저로 JEUS 관리 콘솔에 접속합니다: `http://localhost:9736/webadmin`.

7. WebtoB와 JEUS 연결 구성:
- JEUS 관리 콘솔에서 WebtoB와 JEUS 간의 연결을 설정합니다.
- IP 주소, Thread Pool 번호, Registration ID 등을 설정합니다.

8. WebtoB와 JEUS 재기동:
- 웹투비와 JEUS를 재기동합니다. 순서는 `웹투비 시작 > JEUS 시작` 및 `JEUS 종료 > 웹투비 종료` 입니다.

 

 


상기 내용들은 웹투비와 제우스 간의 연결 설정 및 기동 순서를 설명한 것으로, 여러분의 실제 환경에 따라 조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