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파이썬 변수: 지역 변수, 전역 변수, 디폴트 인수, 키워드 인수

파이썬은 다양한 상황에서 변수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하는데 사용됩니다. 변수는 프로그램에서 값을 저장하고 참조하는 데에 필요한 식별자로서, 파이썬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변수를 지원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파이썬 변수의 종류와 특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역 변수, 전역 변수, 디폴트 인수, 키워드 인수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지역 변수 (Local Variable)

지역 변수는 함수 안에서 선언되는 변수입니다. 함수 내에서만 사용할 수 있으며, 함수가 호출될 때 생성되고 함수 실행이 끝나면 소멸합니다. 지역 변수는 함수 내에서만 유효하기 때문에 동일한 이름의 변수가 다른 함수에서 사용될 수 있습니다.

def calculate_area(radius):
result = 3.14 * radius**2
return result

r = float(input("원의 반지름: "))
area = calculate_area(r)
print(result) # 오류 발생: result는 지역 변수로 함수 내부에서만 사용 가능합니다.


전역 변수 (Global Variable)


전역 변수는 함수 외부에서 선언되는 변수로서, 프로그램 전체에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전역 변수는 프로그램이 시작될 때 생성되고 프로그램 종료까지 유지됩니다. 함수 내부에서도 전역 변수에 접근하고 값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예시

global_var = 10 # 전역 변수

def my_function():
print(global_var) # 전역 변수 출력

my_function() # 출력: 10



디폴트 인수 (Default Argument)


파이썬에서는 함수의 매개변수가 기본값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를 디폴트 인수라고 합니다. 디폴트 인수를 가진 매개변수는 함수 호출 시 인수를 전달하지 않아도 기본값이 사용됩니다.


예시

def greet(name, msg="별일없죠?"):
print("안녕 ", name + ', ' + msg)

greet("영희") # 출력: 안녕 영희, 별일없죠?


키워드 인수 (Keyword Argument)


키워드 인수는 인수의 이름을 명시적으로 지정해서 전달하는 방법입니다. 함수 호출 시 인수와 함께 인수명=값 형태로 지정하여 전달합니다. 이를키워드 인수를 사용하면 인수의 순서를 신경쓰지 않고 인수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이는 가독성을 높이고, 특정 인수만 지정하여 전달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합니다.

def calc(x, y, z):
return x + y + z

calc(y=20, x=10, z=30) # 출력: 60



변수는 파이썬 프로그래밍에서 중요한 개념이며, 다양한 종류의 변수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저장하고 처리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지역 변수와 전역 변수의 개념을 이해하고, 디폴트 인수와 키워드 인수를 사용하여 함수 호출을 유연하게 처리하는 방법을 살펴보았습니다. 변수의 종류와 활용 방법을 이해하면 파이썬 프로그래밍에서 더욱 효율적이고 유연한 코드를 작성할 수 있을 것입니다.


댓글